[캔서앤서] 유방암① 유방암 원인 및 유형

2019-09-16 조회수 8078

[캔서앤서] 유방암① 유방암의 원인 및 유방암 유형

 

안녕하세요. #식이요법전문연구기업 #닥터키친입니다.

암에 대한 모든 질문을 모아 모아 풀어드리는 CANCER ANSWER 세 번째 시간이 찾아왔습니다.

암에 대한 기본적인 식사 원칙은 어떤 암이든 공통적으로 적용되지만,

3탄은 좀 더 유방암에 초점을 맞춰 얘기하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1. 유방암, 특히 더 조심해야 하는 사람들이 있을까요?

네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것들이 유방암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 해당되는 분들은 더 조심하셔야 합니다.

 

첫째. 유전자!

유방암 가족력이 있거나, 암 억제 유전자인 BRCA에 변이가 있는 경우입니다. 서양의 유명 여배우 또한 이 유전자를 갖고 있어, 유방 절제를 했습니다. 전체 유방암 발생 원인 중 5~10%가 이에 해당합니다.

 

둘째. 에스트로겐!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에 노출된 기간이 길면 유방암 위험이 높아집니다. 좀 더 쉽게 말씀드리면, 월경을 한 기간이 길수록 유방암 위험이 높아집니다.

즉, 초경을 빨리 한 경우, 폐경을 늦게 한 경우, 출산을 하지 않았거나 30세 이후 출산한 경우, 모유 수유를 하지 않은 경우 등입니다. 또한 폐경 후 호르몬 치료를 한 경우도 해당됩니다. 에스트로겐은 체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르몬이지만, 유방 유관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효과도 있기 때문입니다.

 

셋째. 라이프스타일(Life Style)!

여러 생활습관과 관련된 요소들이 유방암의 위험도에 영향을 줍니다.

 

*폐경 여성 중, 비만

: 폐경 여성에게서 에스트로겐은 주로 지방세포에서 공급합니다. 따라서 비만인 경우 에스트로겐에 더 많이 노출됩니다. 실제 폐경 후 여성에서 BMI(체질량지수)가 5씩 증가할 때마다 유방암 발생 위험이 8~19% 증가합니다.

 

*고지방식

 

: 총 지방 섭취량의 증가, 포화지방 섭취 증가는 유방암의 발생률을 높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음주

: 하루 한잔 이하의 가벼운 음주도 유방암 발병 위험을 높입니다. 알코올은 체내 에스트로겐 분비를 증가시키기 때문입니다. 또한 알코올의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는 발암물질입니다. 약간의 알코올 섭취도 유방암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신체활동 부족

: 운동과 같은 신체활동은 유방암 발생을 억제한다고 많은 문헌에서 보고하고 있습니다.

 

위의 여러가지 유방암 위험인자 중 유전, 에스트로겐 노출 기간과 같은 부분은 우리가 바꿀 수 없지만, 생활습관을 바꾸는 것은 가능하므로 신경을 쓰셔야겠습니다.

 

 

2. 유방암을 진단받았습니다.

호르몬 수용체 양성, 음성 너무 복잡해요.무슨 뜻인가요?

 

유방암은 다른 암과 달리 암세포에 호르몬 수용체가 있는지 또는 인간상피성장인자 수용체(HER2)가 양성인지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집니다. 호르몬 수용체가 있을 경우 호르몬이 암 세포의 성장에 관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방암 환자의 경우 본인이 어떠한 유형에 해당하는지 아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세 가지 경우 중 하나에 해당하더라도 한가지 치료법만 시행하지 않고, 수술, 방사선 치료와의 병행 등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치료법은 여러가지를 사용하거나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에스트로겐 또는 프로게스테론 호르몬 수용체 양성 (ER and/or PR 양성)

: 암세포가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또는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양성 또는 둘 다에 해당하는 경우를 호르몬 수용체 양성이라고 합니다. 이들 호르몬 수용체가 암세포에 있을 경우, 에스트로겐 또는 프로게스테론이 수용체에 결합해 암세포를 성장시킵니다. 따라서 ER/PR 양성인 유방암은 항암 호르몬 요법을 시행하는데,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작용하는 타목시펜 또는 에스트로겐 생성을 줄이는 아로마타제 저해제를 사용합니다.

 

2) 인간상피 성장인자 수용체 2형 양성 (HER2 양성)

: HER2는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의 약자로, 인간상피 성장인자 수용체라고도 합니다. HER2는 유방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단백질입니다. 유방암 환자에서 HER2 양성 판정은 HER2가 과발현된다는 의미입니다. 실제 침윤성 유방암 환자의 25~30%에서 HER2가 과발현됩니다.

HER2 양성인 경우 암세포의 HER2 신호 전달체계를 차단하는 허셉틴과 같은 약물을 사용해 표적 치료를 합니다.

 

3) 삼중음성참고자료

: 호르몬 수용체 가 음성이면서 HER2도 음성인 경우를 의미합니다. 이런 경우 다른 암과 마찬가지로 보조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게 됩니다.

 

다음 편에서는 많은 유방암 환우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유방암 치료 후 식이요법에 관련한 이야기가 이어집니다.

기대해주세요!

 

 

참고문헌 및 사이트

American Cancer Society, Understanding a Breast Cancer Diagnosis

World Cancer Research Fund, Diet, nutrition, physical activity and breast cancer survivors, 2018

김지연, 현대인의 질병과 영양 I. 유방암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영양관리, 국민영양 pp14~17, 2015

봅 아노트, 유방암 예방 식이요법, 일조각 2015한국영양학회, 파이토뉴트리언트 영양학, 라이프사이언스, 2011

한국유방학회, 2018 유방암 백서, 2018한국유방암학회, 유방암 백서 2017, 2017

국가암정보센터 암예방과 검진 http://bit.ly/2Ppc7Gn

국가암정보센터 유방암 http://bit.ly/2GAiZ0u

질병관리본부 국가정보포털 http://bit.ly/2GAjwj0

주식회사 닥터키친
대표자
박재연
사업자등록번호
480-86-00122 [사업자정보확인]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 2022-서울강남-01177호

유통전문판매업신고번호
제 2017-0099975호
대표번호
1833-6334
입점∙제휴∙광고 문의
hello@doctorkitchen.co.kr
채용문의
hr@doctorkitchen.co.kr
사업장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424, 14~16층
호스팅 제공자
Amazon Web Services, Inc.
  • HACCP 인증받은 닥터키친,
    더 안심하고 드세요

  • 코리아 AI 스타트업
    100대 기업 닥터키친 선정

  • 과학적인 식이요법을 위한
    반조리 식품 개발을 높이 평가 받아,
    국무총리 표창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