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키친] 요즘 핫한 식물성 음료, 알고 마시자

2021-06-04 조회수 5442

안녕하세요. 닥터키친입니다.

최근 아몬드우유, 귀리우유, 코코넛우유 등 다양한 식물성 우유들이 눈길이 갑니다. 그런데 정확히는 식물성 ‘음료’라고 하는 게

맞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우유’란 ‘원유(原乳, 젖소에서 짜낸 우유)를 살균·멸균 처리한 것’을 말하는데 위 음료들은

대체로 원유가 들어있지 않습니다. 편의상 ‘-우유’라고 부를 뿐입니다.

 



 
식물성 음료를 찾는 이유

한국인의 75%가 겪고 있다는 ‘유당불내증’은 우유에 함유된 유당을 소화하지 못해 불편감을 겪는 질환으로 식물성 음료 소비층의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건강상의 이유로 칼로리, 탄수화물, 포화지방, 콜레스테롤 등을 제한해야 하는 사람들에게도 우유의 좋은

대안이 되며, 가축의 우유에 남아있는 항생제나 호르몬제를 피하고자 식물성 음료를 찾는 이들도 있습니다.

유제품을 대체하는 식물성 음료는 최근 채식 트렌드의 수혜를 받은 품목 중 하나입니다. 여기에 낙농업, 축산업으로 야기되는

환경오염과 비윤리적인 방식으로 양육되는 가축 환경에 따른 동물 복지 등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높아진 것도 한몫했습니다.

 
식물성 음료 섭취 시 주의사항

식물성 음료는 콜레스테롤이 없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일부 제품에는 3~15mg 내외의 콜레스테롤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특히 곡물우유의 경우 원유가 포함돼 있어 일반 우유의 콜레스테롤 함량(9~10mg)보다 높습니다. 우유를 제한하는 채식주의자라면

원재료 함량 확인이 필요합니다.

아몬드우유나 쌀우유 등은 단백질 함량이 200ml 기준 1g으로 낮습니다. 단백질 보충 측면에서 마신다면 두유(6g), 곡물우유(5g),

귀리우유(4g) 등이 좋습니다. 코코넛우유, 곡물우유는 탄수화물이 200ml당 18~28g 내외로 일반 우유(10g)보다 높아 당뇨 환자의

경우 주의가 필요합니다. 같은 재료로 만들었더라도 제품에 따라 당류 함량이 2배 이상 차이 나는 경우가 많으니 영양성분을

확인하고 구입해야 합니다.

 
식물성 음료 섭취 Tip

식사 대용으로 단호박, 고구마, 바나나, 토마토 등을 자주 갈아 마신다면 물보다는 단백질이 높고 요구르트보다는 당 함량이 적은

식물성 음료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대형 카페에서도 우유가 들어가는 메뉴를 식물성 음료로 대체해 주문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실제 아몬드우유, 두유 등은 고소한 맛과 향으로 커피와도 잘 어울립니다.

홈카페를 즐기는 사람들은 직접 아몬드우유를 만들어 먹기도 합니다. 아몬드를 12시간 정도 물에 충분히 불려 껍질을 벗긴 뒤 3배

분량의 물을 함께 넣고 갈아 거름망에 거르면 간단히 만들 수 있습니다.

식물성 음료는 대체로 식이섬유 함량이 풍부해 낮은 칼로리로 포만감을 주기 좋습니다. 따라서 다이어터들 뿐만 아니라 끼니와

끼니 사이, 또는 늦은 밤 배고플 때 간식으로 추천합니다.
 

 

 

 

[ⓒ 매경헬스 & mkhealth.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식회사 닥터키친
대표자
박재연
사업자등록번호
480-86-00122 [사업자정보확인]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 2022-서울강남-01177호

유통전문판매업신고번호
제 2017-0099975호
대표번호
1833-6334
입점∙제휴∙광고 문의
hello@doctorkitchen.co.kr
채용문의
hr@doctorkitchen.co.kr
사업장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424, 14~16층
호스팅 제공자
Amazon Web Services, Inc.
  • HACCP 인증받은 닥터키친,
    더 안심하고 드세요

  • 코리아 AI 스타트업
    100대 기업 닥터키친 선정

  • 과학적인 식이요법을 위한
    반조리 식품 개발을 높이 평가 받아,
    국무총리 표창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