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이한수] 당뇨 환자의 알코올 섭취 가이드
안녕하세요. 닥터키친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편의점 이용 시 식품 선택 방법과 그에 따른 주의/추천 메뉴들을 살펴보았습니다.
같은 양이나 칼로리여도 영양성분과 혈당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날씨가 점차 따뜻해지면서 편의점 앞에서 간단히 술 한잔을 곁들이시는 광경을 볼 수 있는데요.
당뇨 환자분들께서도 술을 마실 수 있는지, 얼마나 마시는 것이 적절한지 물어보시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오늘은 당뇨 환자의 알코올 섭취 시 신체에 미치는 영향과 주의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당뇨병에 술은 왜 안좋은가요?
알코올 섭취 시 체내에서 더 많은 인슐린 분비를 자극해 췌장의 베타세포에 많은 부담을 주고, 인슐린 저항성을 일으켜
혈당관리를 어렵게 만들어 고혈당, 고혈압을 유발합니다. 술을 먹을 때 식품을 통해 섭취한 탄수화물량이 많을 경우 고혈당을
일으키기도 하지만, 반대로 섭취량이 적을 경우 평소와 같이 당뇨약을 복용하거나 인슐린 주사했을 때, 또는 체내 인슐린 분비의
반동으로 저혈당의 위험이 있습니다. 술에 들어있는 알코올은 1g당 무려 7kcal을 내는 고열량 식품으로 평균적으로 1잔에는
약 12g의 알코올이 포함되어 있으며, 칼로리는 1병당 밥 1공기(300kcal)보다 많은 열량을 냅니다. 따라서 식사와 함께 먹거나
과잉 섭취 시 복부비만 및 지방간 위험을 높이고 인슐린 민감성도 저하될 수 있습니다. 그 밖에 말초신경장애, 췌장질환 등의
합병증 발병을 초래할 수 있어 알코올 섭취를 권장하지 않습니다.
당뇨병 환자의 음주원칙
이러한 문제점들에도 불구하고 음주가 불가피할 경우 아래의 지침을 지키도록 합니다.
1. 과음을 피하고 적당량 섭취합니다. 혈당 조절이 잘 되는 경우에 한해 주 1~2회 이내로 섭취하며 남자는 2잔,
여자는 1잔 이내가 적절합니다. 간질환, 고지혈증, 비만의 경우 음주를 금합니다.
2. 당분이 많은 술을 주의합니다. 매실주, 포도주, 청주, 막걸리 등의 경우 당분도 포함되어 혈당을 높일 수 있어 밥이나 면 등
곡류 섭취를 줄여야 합니다. 도수 높은 술은 희석해서 섭취합니다.
3. 공복상태나 운동 식후에는 술을 피합니다. 술 자체에는 당질량이 높지 않아 공복상태나 운동 직후 술만 섭취 시
저혈당 위험이 있습니다. 고기, 야채, 밥 등 균형적인 식사와 함께 섭취합니다.
4. 음주 후에는 특별히 저혈당을 주의합니다. 음주 후 8~12시간 사이 혈당이 떨어져 아침 저혈당의 위험이 있으므로 아침을
거르지 않고 꼭 섭취하도록 합니다. 과음으로 인해 저혈당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어 특별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식이한수”는 ㈜닥터키친이 제작하는 식이요법 교육자료로
아이쿱을 통해 병원 진료 시 상담을 위한 자료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닥터키친 ㅣ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